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이동은 기자 나왔습니다. 첫 번째 주제입니다. 벌써 OO. 윤 대통령이 보이는데 어떤 얘긴가요? <br><br>벌써 1년 입니다. <br> <br>오는 10일이면 윤 대통령이 취임한 지 1주년이 되죠. <br> <br>대통령실에서 지난 1년 동안 대통령 부부가 만났던 시민들을 다시 찾아가 인터뷰한 영상을 공개했습니다.<br><br>(지난해 9월, 경북 포항 태풍 피해 현장) <br>걱정하지 마세요. <br> <br>[문종련 / 포항 오천시장] <br>서민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끔 도와주는 대한민국이 되면 좋겠습니다. <br> <br>(지난해 7월, 신촌지구대) <br>여기가 일이 엄청 많은 데인 걸 제가 알고 있어요. <br> <br>[유혜인 / 서울 신촌지구대] <br>어딜 가든 안전하다고 느끼는 자랑스러운 나라가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. <br> <br>[이정재 / 배우] <br>국민의 바람이 이루어지는 나라 자랑스럽고 살기 좋은 대한민국이 되기를 소망해봅니다. <br><br>Q. 눈에 익은 분도 있고, 희망찬 모습을 보니 반갑네요. 이렇게 많은 응원을 받고 있는데 지지율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에요? <br><br>지난 1년간 윤 대통령 지지율은 그야말로 롤러코스터를 탔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5월 취임 첫 주 52%로 시작했던 지지율은 만5세 초등학교 입학 논란 등으로 24%까지 하락했고요. <br> <br>'바이든-날리면' 사태, 주 69시간제 논란, 강제동원 제3자 변제안 등으로 30% 전후 지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래도 최근 미국 국빈 방문 이후 지지율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> <br>Q. 그중에서도 윤 대통령이 가장 뼈아픈 부분이 있다고요? <br><br>윤 대통령 당선에 기여했던 2030세대의 외면입니다. <br> <br>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20대는 13%, 30대는 26%에 머무르며 취임 첫 주에 비해 크게 하락한 모습인데요.<br> <br>대통령실은 고용세습 근절 등 노동개혁을 적극 추진하고 부산 엑스포 유치에 만전을 기하며 2030세대 민심을 잡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Q. [다음 주제] 보겠습니다. '열정페이?' 문재인 전 대통령이 보이네요. 얼마 전에 평산책방을 열었죠. <br><br>지난달 말 문을 열었는데요. <br><br>문을 연지 1주일 만에 1만 명이 다녀갔고 책도 5천 권 넘게 팔렸다고 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평산책방이 자원봉사자를 대거 모집하면서 '열정페이' 논란이 불거졌습니다. <br> <br>Q. 책방에서 자원봉사자를 뽑는다고요? <br><br>그렇습니다. 길 안내 등을 맡는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지난 5일부터 선착순으로 50명을 모집했고, 벌써 마감됐습니다. <br> <br>자원봉사자는 4시간 또는 8시간 근무를 하게 됩니다. <br> <br>활동혜택은 평산책방 굿즈와 점심식사 및 간식인데요. 점심식사는 종일 근무하는 사람에게만 지급됩니다.<br> <br>Q. 8시간을 일해야 무료 점심을 먹을 수 있다는 거네요. 제대로 된 노동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아르바이트생처럼 쓰는 건데 열정페이 논란이 나올 수 있겠어요. <br><br>국민의힘은 "무임금 봉사자 모집"이라며 "소득주도성장을 외쳤던 장본인인 문 전 대통령이 소득 없는 일자리 만들기에 열심"이라고 지적했습니다.<br> <br>문 전 대통령은 8년 전 열정페이에 대해 이렇게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문재인 /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(2015년 7월)] <br>청년들의 노동에 대해서 합당한 보수와 대우가 필요합니다. 열정페이라는 이런 이름으로 청년 노동력을 착취하는 이런 일이 있어서는 안되겠습니다. <br><br>평산책방 SNS에는 "열정페이로 비쳐지기 시작했고 비판들이 있다. 좀 신중했으면 좋겠다", "아르바이트를 최저임금 이상 주고 고용해라. 문 전 대통령은 사람이 먼저라 하셨다" 등 문 전 대통령 지지자들도 우려하는 댓글을 달고 있습니다.<br><br>Q. 평산책방 입장은 뭔가요? <br><br>평산책방과는 연락이 닿지 않았고요. <br> <br>문 전 대통령 측은 "자원봉사자에게 열정페이를 얘기하는 건 처음 들어본다"며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.<br> <br>자원봉사냐, 열정페이냐, 처음부터 논란을 만들지 않고 사람이 모자라면 직원을 추가 고용하면 일자리도 창출되고 더 바람직했을 것 같네요.(추가 고용) <br> <br>Q. 지금까지 정치부 이동은 기자였습니다.